본문 바로가기
HR Insight & Trend

구조조정과 보수적인 인력 운용

by Cherry-dot 2024. 12. 27.
반응형

 

2024년은 국내 많은 기업들에서 '구조조정' 과 '희망퇴직' 을 실시한다는 소식을 가장 많이 들었던 해이다.

건실해보였던 유수의 대기업들도 구조조정을 실시하거나 계열사 정리를 시행하여 인력과 비용을 '감축' 하는 행보를 보였다.

'엥? 여기가 구조조정을 한다고?' 하는 회사들도 많았던 것 같다.

대한민국의 경제가 현재 저성장 추세임을 실감하게 해주는 한 해였다.

해당 이슈는 기업 설문조사에서도 3위를 차지할만큼 꽤나 비중이 큰 사안이었다.

경제 침체와 매출 부진은 2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만큼,

대규모의 적극적인 채용은 더욱 줄어들고 있는 인력들도 마냥 안심만 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될 것 같다.


 

2024년 국내 대기업에서 실시했던 인력 감축 또는 사업 축소 행보는 어떤게 있었는지 살펴보자.

 

① 포스코 (철강 부문 중심으로 그룹에서 대대적인 희망퇴직)

ㄴ 사유 : 주축인 철강과 2차전지 소재 사업의 동반 부진으로 실적 악화

ㄴ 대상 : 만 50세 이상 및 직급 10년 차 이상

ㄴ 보상 : 퇴직금 연봉의 최대 3년 치 수준

ㄴ 이외 긴축 : 임원들의 급여를 최대 20% 반납하고 주식보상제도(스톡그랜트)를 폐지

이외 긴축 : 보유한 금융·부동산 등의 자산과 일부 사업도 구조조정 중

 

엔씨소프트 (12년만의 희망퇴직)

ㄴ 대상 : 통폐합 예정인 게임 개발 조직 및 비개발 직군 정규직 직원
ㄴ 규모 : 5000명 안팎이던 사내 인력이 약 3000명대로 축소

ㄴ 보상 : 근속 기간에 따라 최소 20개월부터 최대 30개월치 월급 지급 ,퇴직 위로금 총 약 1000억원 예상 (올 해 실적 적자) 

조건 : '최종 승인'을 받은 사람만 희망퇴직을 허용, 그 외에는 반려할 수도 있음.

ㄴ 기대하는 바 : 연간 1400억원 가량의 인건비 절감 대형 신작들이 예고된 만큼, 구조적 턴어라운드 진입

 

③ 코카콜라음료 - LG생활건강 자회사

ㄴ 사유 : 오프라인 영업소에서 이커머스 등 온라인 채널로 이동, 실적부진

ㄴ 대상 : 1971년 이전 출생자 중 영업·물류부서 근무 직원

ㄴ 보상 : 퇴직자 연령별로 최대 2년 치 기본 연봉을 일시 지급하고, 최대 4학기의 자녀 학자금을 지원

ㄴ 기대하는 바 : 시장 상황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출시해 제로 음료 포트폴리오도 강화, 라인업 등 역량을 강화

 

 

업력이 오래된 대기업의 경우, 연차가 오래된 / 나이가 많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고

기술 변화에 민감한 IT기업의 경우, 기술 경쟁력에서 떨어지는 부서 또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
 

구조조정, 희망퇴직, 권고사직, 해고

부정적인 용어들이지만 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 

기업이 어떤 식으로 인력을 조정하고 싶어하는지, 법적으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.

 

 

① 구조조정

네이버 국어사전 : https://ko.dict.naver.com/#/entry/koko/0060ffb4a7c2490d82e013d7cd7f0cdd

 

즉, 기업이 지속성이나 생존에 위험을 느꼈을 때 성장에 저하되는 요소는 정리하고 강점에 집중하여 생산성을 끌여올리려는 것이다.

(=기업이 사회에서 살아남도록 선택과 집중을 단행하는 것)

 

 

② 희망퇴직

네이버 국어사전 : https://ko.dict.naver.com/#/entry/koko/2a5e7a3a4e15461b8da2e2688be67aa4

 

기업이 구조조정을 할 때, 인력감축이 필요한 경우 시행한다.

 

희망퇴직의 성격 

ㄴ 직원들의 의사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, 추가 보상안이 걸려있는 경우가 많음

 

희망퇴직은 어떻게 진행되는가?

1) 희망퇴직 프로그램 실시 사실을 공지로 직원들에게 알림 → 기간, 보상, 대상, 절차 등을 명확히 전달해야함

2) 정해진 기간 동안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희망퇴직 신청서를 제출함

3) 신청서를 검토하고 보상금을 지원하며, 보통 법정 퇴직금 외에도 위로금이 함께 지급됨.

 

희망퇴직의 장/단점?

1) 장점

ㄴ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신청하므로 강제성이 약함 (노사 간의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음)

보상 패키지를 제시함으로써 회사의 이미지.. 를 최소한으로 지킬 수 있음

 

2) 단점

ㄴ 고급 인력이 희망퇴직을 신청하여 떠날 가능성이 있음 (이런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, '반려 가능' 조건을 걸기도 함)

ㄴ 한꺼번에 많은 인력이 빠져나감으로써 업무 공백이 크게 느껴지고, 남아있는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증가할 수 있음.

ㄴ 한 번에 보상금이 많이 지급되므로 단기적인 기업 손실이 예상됨.

ㄴ 남아있는 직원들의 상실감, 불안감이 고조되어 전체적인 사기가 저하됨.

 

 

③ 권고사직

네이버 국어사전 : https://ko.dict.naver.com/#/entry/koko/76e764c6a4fe4a069947d10874155f2d

 

 

권고사직의 성격

ㄴ 회사가 근로자에게 자발적으로 퇴사하길 권고하는 형태이며, 근로자가 이를 거부할 수도 있음.

 

권고사직은 어떻게 진행되는가?

1) 권고사직 대상자 선정 (평가 결과,성과 데이터 등 객!관!적!인 자료를 바탕으로 해야함)

2) 법적 서류 및 검토 진행 (취업규칙,단체협약,근로계약서 / 노동법상 보호 대상 확인 - 임산부 산재근로자, 정당성 확보할 수 있는 근거들)

3) 보상패키지 설계 (보통 업계 기준과 재정 수준을 고려하여 책정하며, 법정 퇴직금 이외 각종 형태의 위로금을 산정함)

4) 커뮤니케이션 방안 마련 (메세징,언론 관련,남은 인력과의 소통)

5) 실행 일정 및 체크리스트 확인 (시행 시기 및 기간, 보상안, 대상자 확정)

 

권고사직의 장/단점?

1) 장점

ㄴ 회사가 퇴직 대상자를 정함으로써, 기업 입장에서 필요한 인력이 자발적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

ㄴ 대상자가 많을 경우 한 번에 보상금이 많이 지급되어 단기적인 기업 손실이 예상됨.

 

2) 단점

ㄴ 권고사직 대상 직원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서 감정적 트러블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

ㄴ 회사의 대/내외적 이미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음

ㄴ 노무 관련 검토해야할 법적 사안이 까다로움

 


 

근로관계 종료 성격은 어떻게 다른가?

 

희망퇴직의 경우 '합의 해지' 로서 자발적 퇴사에 해당

: 실업급여 수급이 어렵지만, 회사의 경영상 필요에 따라 '권고'된 경우라면 지급받을 수 있음. (퇴직코드 '권고사직')

권고사직의 경우 '합의 해지' 가 아님으로 '비자발적 퇴사' 에 해당하며 이는 해고와 다르게 처리되는 '사직'임.

: 비자발적 퇴사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이 주어짐 (퇴직코드 '권고사직')

 


 

그럼, 이미 권고사직 희망퇴직 등으로 인력 감축이 완료된 상황.

내부 인원 입장에서는 잔류 인원들의 사기 저하와 불안감 증대가 가장 큰 문제로 남아있을 것.

장기적인 관점에서 풀어나가는 회사 측 AND 리더들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.

 

ㄴ '안정감'은 향상시키고 '업무 동기부여'를 올릴 수 있는 메세징이 필요함.

- '안정감' 은 회사와 직원들간의 신뢰를 재구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. 

- 신뢰는 어떻게 재구축하는가? 직원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한다.

- 직원 개인도 좋지만, 타운홀 미팅과 같은 자리를 주기적으로 가짐으로써 직원과 회사 간의 심리적 거리를 조금씩 좁혀나간다.

 

ㄴ 목표관리, 평가 방법 등에 대해 재고하고, 최대한 직원들이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

-  목표관리의 경우 업무 동기부여 요소가 떨어진 상황에서 다시금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이다.

- 평가 방법은, 공백으로 인한 업무 증가 등의 상황을 반영하고 기여도를 측정하여 적합한 평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한다.


 

같은 회사에서 근무하는 나의 동료들과 이별하는 방법을 준비하려는 HR담당자의 심정도 편치 않을 것이다.

이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HR은 타 부서들의 공공의 적이 될 수 밖에 없는데

억지로 발뺌하기보다는 회사의 현 상황과 달성하려고 하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

미스 커뮤니케이션이나 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꼼꼼히 준비하는 것이 우선일 것 같다.

 

직원과의 화합과 즐거운 업무 분위기 조성을 위해 내부 직원들에게 열심히 다가가다가

이런 상황이 닥치면 입을 무겁게 하는 것이 좋기에 쉬이 가까이 갈 수가 없다는 것이 조금은 슬프기도하다,,

(가깝지만 먼 우리 사이..)

 

이제 독보적으로 안정적인 기업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.

여러 경제 상황에 따라 기업의 방향성은 수정되고

이 과정에서 HR은 이제 비즈니스 파트너 역할까지 확대되어 사업 전략에 맞는 인력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하니

변화에 겁먹지 않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기본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41111042000017

 

엔씨소프트 희망퇴직 접수 완료…신청자 500명 넘어 | 연합뉴스

(서울=연합뉴스) 김주환 기자 = 엔씨소프트[036570]가 실적 악화 여파로 12년 만에 단행한 희망퇴직에 500명 이상의 직원이 신청했다.

www.yna.co.kr

 

https://v.daum.net/v/20241218085402958

 

기업이 뽑은 올해 'HR 핫키워드'...구인난·구직난·구조조정

(지디넷코리아=백봉삼 기자)올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, HR 시장도 여느 해보다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. 과연 기업들이 꼽은 올해의 인적 자원(HR) 분야 주요 이슈는

v.daum.net

https://www.enewstoday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90374

 

M&A에 구조조정, 희망퇴직까지···재계에 부는 ‘11월 칼바람’

[이뉴스투데이 김종현 기자] 재계가 연말인사를 앞두고 예상보다 거센 칼바람이 불 것으로 전해지면서 술렁이고 있다. 더욱이 글로벌 시황이 부진한 산업을 중심으로 희망퇴직 바람이 전 산업

www.enewstoday.co.kr

https://essential01.tistory.com/257

 

구조 조정 뜻 (feat. 정리해고 차이)

≣ 목차 구조 조정 뜻 구조 조정은 회사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거나 더 잘 운영되기 위해 필요 없는 것을 정리하고, 중요한 것을 강화하는 과정입니다.예를 들어, 집이 너무 복잡해서 물건을

essential01.tistory.com

https://hrdiver.tistory.com/entry/%EA%B6%8C%EA%B3%A0%EC%82%AC%EC%A7%81-%EB%B0%98%EB%93%9C%EC%8B%9C-%EC%95%8C%EC%95%84%EC%95%BC-%ED%95%A0-%EB%B2%95%EC%A0%81-%EB%A6%AC%EC%8A%A4%ED%81%AC%EC%99%80-%ED%94%84%EB%A1%9C%EC%84%B8%EC%8A%A4-%EA%B0%80%EC%9D%B4%EB%93%9C

 

권고사직,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리스크와 프로세스 가이드

안녕하세요. 🙋‍♂️ 오늘은 많은 HR 담당자분들이 고민하시는 권고사직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권고사직의 법적 정의와 판례 동향, 사전 준비사항과 체크

hrdiver.tistory.com

 

반응형